제로웨이스트 기념일 보내기 – 무소비 데이 실천기
가장 소비가 많은 날, 가장 소비하지 않는 도전을 하다기념일이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무언가를 사야 한다'고 생각한다.꽃다발, 케이크, 선물, 외식, 이벤트 준비까지… 그 모든 순간에 일회용 포장과 과소비가 따라붙는다.하지만 나는 이번 기념일을 조금 다르게 보내보고 싶었다.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는 사람으로서, ‘무소비 데이’를 기념일에 도전해보기로 한 것이다.무소비 데이란 단어 자체는 간단하지만, 막상 실천하려면 생활 습관 전체를 바꿔야 한다.기념일에 무언가를 소비하지 않고 오히려 있는 자원 안에서 의미를 찾는 일은,기존의 축하 방식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일이었다.이 글은 내가 실제로 경험한 무소비 기념일 실천기를 바탕으로어떻게 준비했고, 어떤 어려움이 있었으며, 어떤 깨달음을 얻었는지를 나누..
제로웨이스트를 위한 공공기관 활용법 – 대여, 공유, 지원사업
개인 실천만으로는 부족하다면, 공공자원을 활용하자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기로 마음먹은 많은 사람들이가장 먼저 느끼는 감정은 ‘막막함’과 ‘경제적 부담’이다.플라스틱 대신 유리용기를 쓰고, 일회용품을 줄이고, 천연 제품을 고르다 보면생각보다 지출이 늘어나고, 실천이 어려워지는 순간이 온다.하지만 우리는 ‘혼자’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함께’ 자원을 나누며 실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미 갖추고 있다.바로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공유 자원, 대여 시스템, 제로웨이스트 지원사업이 그것이다.이 글에서는 지자체나 공공기관이 운영 중인 자원 공유 시스템을 중심으로어떻게 일상에서 쓰레기를 줄이고, 동시에 비용까지 아낄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할게. 1. 생활용품 대여 서비스 – 필요한 순간만 쓰고 반납하기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