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퀴 위의 삶에서 지구를 위한 선택을 하다
캠핑카는 자유와 자립의 상징이다.
정해진 장소 없이 달리고,
자연 속 어딘가에서 잠들고,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삶.
하지만 그 안에서의 소비는 의외로 많은 쓰레기를 동반한다.
포장된 음식, 일회용 세면도구, 비닐봉지, 캠핑용 플라스틱 용품…
이동하면서 편의성에 초점이 맞춰지다 보면
쓰레기 분리도 어려워지고, 줄일 수 있는 기회조차 놓치기 쉽다.
그렇다면 ‘캠핑카 라이프’와 ‘제로웨이스트’는 공존할 수 있을까?
정답은 YES.
오히려 제한된 공간과 자원 속에서
더 창의적인 제로웨이스트 실천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캠핑카에서 살면서 쓰레기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
여행 중 지속 가능한 루틴을 유지하는 팁,
친환경 아이템과 공간 관리 노하우까지
이동 중에도 자연을 해치지 않는 진짜 여행자 라이프를 위한 정보를 공유한다.
1. 캠핑카 주방, 일회용 없이 구성하는 방법
캠핑카 내부에서 가장 많은 쓰레기가 나오는 공간은 단연 ‘주방’이다.
식재료 포장, 일회용 용기, 종이컵, 빨대, 물티슈, 비닐봉지…
하지만 몇 가지 실천만으로도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장보기부터 달라지기
- 로컬 마켓, 재래시장, 직거래 장터에서 무포장 채소, 과일, 곡물 구입
- 실리콘 파우치, 천 주머니, 유리병을 장바구니와 함께 준비
- 생수 대신 물 정수기 or 대용량 물통 리필 활용
팁: 일정 전 장보기를 한 번에 몰아서 하면 포장 줄이기가 쉬워지고
여행 중에도 계획된 식단을 유지하기 좋다.
조리와 식사 – 다회용이 기본, 간편함은 유지
- 접이식 스테인리스 식기 세트 (접시, 그릇, 수저) 사용
- 조리용 나무 주걱, 천 행주, 고체 세제로 설거지
- 주방 세제는 베이킹소다 + 식초, 수세미는 천연 수세미 or 손뜨개 수세미 활용
종이컵 하나, 물티슈 한 장이 결국 자연에 남는다.
소량이라도 반복되면 큰 쓰레기가 된다.
2. 세면과 위생 – 작은 공간에서 덜어내는 습관
캠핑카에는 욕실이 작거나 아예 없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간단한 세면용품을 소지하고 외부 시설을 이용하는 일이 많다.
이때 가장 많이 쓰는 것이 일회용 칫솔, 여행용 샴푸, 물티슈 같은 일회용품이다.
고체 생활용품으로 전환하기
- 고체 샴푸, 비누, 고체 치약 → 용기 없이 가볍고 쓰레기 없음
- 다회용 면도기, 대나무 칫솔, 면 손수건 등 휴대 가능 위생용품 활용
- 물티슈 대신 재사용 가능한 젖은 수건(물수건) 사용
팁: 외부 캠핑장 샤워실에서는 친환경 세정제를 담은 리필통 사용하기
→ 플라스틱 용기 소비와 화학물질 배출을 동시에 줄일 수 있음
빨래는 최소화 + 자연 건조 루틴 만들기
- 소량 빨래는 손세탁 후 흡수력 좋은 수건으로 닦아내기 → 그늘 건조
- 빨래물 관리 시 천연 세제 사용 + 물 절약 팁 함께 적용
공간이 좁기 때문에 ‘자주 빨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중요
→ 기능성 옷, 다회용 속옷, 이너웨어 추천
3. 소비와 장비 – 캠핑 용품은 적게, 오래, 되도록 중고로
캠핑을 준비하면서 신상 용품을 구입하는 것이 일상화된 소비문화가 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캠핑 장비는 플라스틱, 합성소재,
그리고 몇 번 쓰고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구매 전, 필요한 것인지부터 따지기
- “진짜 필요한가?” 질문 후 대여·중고·공유 플랫폼 먼저 탐색
- 지역 캠핑장 커뮤니티에서 장비 교환/나눔 활동 참여
- 중고 장비는 사용 흔적이 있어도 충분히 실용적
캠핑에서 멋보다 중요한 건 쓰임과 지속성이다.
캠핑 필수품도 친환경적으로 고르기
- 텐트: 재생 소재, 방수 코팅 적은 천연 원단 제품 우선
- 버너: 리필형 가스통 or 다회용 연료 사용
- 랜턴: 충전식 태양광 제품 or 충전배터리 사용
- 매트/침낭: 가능한 한 다기능 겸용 제품 선택 (야외+차박 가능 등)
하나의 제품이 여러 역할을 하도록 선택하면
짐도 줄고, 쓰레기도 줄고, 유지관리 시간도 줄어든다.
4. 쓰레기 관리와 환경 보호 – 떠난 자리에 흔적 남기지 않기
캠핑의 기본은 ‘Leave No Trace(흔적을 남기지 말 것)’다.
하지만 실제 캠핑 후 남겨지는 쓰레기 양은 생각보다 많다.
특히 이동 캠핑은 분리수거가 어려워 더 큰 문제가 되기 쉽다.
분리수거 준비 키트 구성
- 종이, 플라스틱, 음식물 쓰레기를 구분하는 접이식 분리함 3개 준비
- 음식물 쓰레기는 고무 용기 + 밀폐 뚜껑으로 일시 보관
- 캠핑장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다음 도시 진입 시 한꺼번에 정리
캠핑 중 분리수거가 어렵더라도 절대 버리지 말고, 보관해서 처리하는 습관 필요
자연 보호 실천 루틴 만들기
- 야외 취사 시 잔불 처리, 잔재물 수거 철저히
- 캠프파이어는 허가된 장소만 사용 + 불씨 관리 중요
- 주변 쓰레기 줍기 + 자연훼손 방지 → 실천하는 캠핑 문화 조성
캠핑은 '쉬러 가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 사는 환경 속에서 쉼을 찾는 것임을 기억하자.
✅ 마무리하며: 진짜 자유로운 여행은 쓰레기로부터 자유로울 때
제로웨이스트 캠핑카 라이프는
모든 걸 완벽하게 실천하라는 말이 아니다.
대신, 우리가 이동하는 그 공간 안에서
자연에 조금이라도 덜 영향을 미치는 삶을 선택하자는 제안이다.
일회용 대신 다회용,
편의성 대신 준비성,
지출보다 공유와 순환을 선택하면
캠핑카 안에서도 얼마든지 지속 가능한 여정이 가능하다.
차 안에서 자고, 자연을 품으며 살아가는 그 삶이
내가 머문 자리를 깨끗하게 비우는 삶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여행은 끝나도, 그 흔적은 남지 않아야 하니까.
'제로웨이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웨이스트와 DIY – 직접 만드는 생활용품 5가지 (0) | 2025.07.19 |
---|---|
제로웨이스트와 자급자족 – 텃밭부터 비누 만들기까지 (0) | 2025.07.19 |
제로웨이스트 실천자를 위한 반려동물 관리법 (0) | 2025.07.18 |
제로웨이스트 실천 전후의 건강 변화 살펴보기 (0) | 2025.07.18 |
제로웨이스트 라이프를 위한 시간관리 노하우 (0) | 2025.07.18 |